- 정부, 예멘 내 인도적 위기 심화 속 19,00만불 규모 기여
- □ 함상욱 다자외교조정관은 3.1.(월) 09:00-13:00(뉴욕시간) 간 개최된「예멘 인도적 위기 대응을 위한 고위급 공약 화상회의*」에 참석하여, 우리 정부가 예멘 인도적 위기 대응을 위해 약 1,900만불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할 계획임을 발표하였습니다. * 영문명: Virtual High-level Pledging Event for the Humanitarian Crisis in Yemen ㅇ 예멘 내 무력충돌이 계속되는 가운데, 올해는 극심한 기근으로 인해 인도적 위기가 한층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며, 국제사회의 지원 및 정치적 지지 결집을 위해 유엔 및 스웨덴․스위스 정부가 공동으로 이번 회의를 개최 ※ 유엔인도지원조정실(OCHA)에 따르면, 올해 1,600만 명 이상의 예멘 사람들이 식량위기를 겪을 것이며, 500만 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이미 기근으로 고통 받고 있는 상황□ 함 조정관을 비롯한 주요 참석자들은 예멘의 인도적 위기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분쟁의 평화적 해결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, 분쟁당사자들이 무력사용을 중지하고, 예멘 내 평화구축을 위해 노력할 것을 촉구하였습니다. □ 특히, 함 조정관은 예멘 내 긴급한 인도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측 지원 계획을 발표하면서, 인도적 위기 대응 뿐 아니라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국제사회의 기여 필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. ㅇ 우리 정부는 국제기구를 통한 인도적 지원과 함께, 식량위기를 겪고 있는 예멘 국민들을 위해 우리 쌀도 지원할 예정 ※ 우리 농림축산식품부는 2018.1월 식량원조협약(Food Assistance Convention)에 가입한 이래 세계식량계획(World Food Programme, WFP)를 통해 예멘을 포함한 아프리카, 중동 국가 대상 우리 쌀 지원중 ㅇ 또한, 예멘의 코로나19 대응 지원을 위해 작년 진단키트를 제공하였으며, 개도국 백신 지원을 위한 「코백스 선구매 공약 메커니즘(COVAX AMC)」에도 기여하고 있음을 소개 □ 우리 정부는 예멘과 같이 수년간 지속되어온 만성적 인도적 위기의 근본적인 해결에 기여하고자 인도적 지원-개발협력-평화간 연계를 강화시키는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해 나갈 예정입니다.붙임 : 상기 회의 사진. 끝.[자료제공 :(www.korea.kr)]
- 손원규 기자 2021-03-02 17:09:04
- 정부, 예멘 내 인도적 위기 심화 속 1,900만불 규모 기여
- □ 함상욱 다자외교조정관은 3.1.(월) 09:00-13:00(뉴욕시간) 간 개최된「예멘 인도적 위기 대응을 위한 고위급 공약 화상회의*」에 참석하여, 우리 정부가 예멘 인도적 위기 대응을 위해 약 1,900만불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할 계획임을 발표하였습니다. * 영문명: Virtual High-level Pledging Event for the Humanitarian Crisis in Yemen ㅇ 예멘 내 무력충돌이 계속되는 가운데, 올해는 극심한 기근으로 인해 인도적 위기가 한층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며, 국제사회의 지원 및 정치적 지지 결집을 위해 유엔 및 스웨덴․스위스 정부가 공동으로 이번 회의를 개최 ※ 유엔인도지원조정실(OCHA)에 따르면, 올해 1,600만 명 이상의 예멘 사람들이 식량위기를 겪을 것이며, 500만 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이미 기근으로 고통 받고 있는 상황□ 함 조정관을 비롯한 주요 참석자들은 예멘의 인도적 위기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분쟁의 평화적 해결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, 분쟁당사자들이 무력사용을 중지하고, 예멘 내 평화구축을 위해 노력할 것을 촉구하였습니다. □ 특히, 함 조정관은 예멘 내 긴급한 인도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측 지원 계획을 발표하면서, 인도적 위기 대응 뿐 아니라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국제사회의 기여 필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. ㅇ 우리 정부는 국제기구를 통한 인도적 지원과 함께, 식량위기를 겪고 있는 예멘 국민들을 위해 우리 쌀도 지원할 예정 ※ 우리 농림축산식품부는 2018.1월 식량원조협약(Food Assistance Convention)에 가입한 이래 세계식량계획(World Food Programme, WFP)를 통해 예멘을 포함한 아프리카, 중동 국가 대상 우리 쌀 지원중 ㅇ 또한, 예멘의 코로나19 대응 지원을 위해 작년 진단키트를 제공하였으며, 개도국 백신 지원을 위한 「코백스 선구매 공약 메커니즘(COVAX AMC)」에도 기여하고 있음을 소개 □ 우리 정부는 예멘과 같이 수년간 지속되어온 만성적 인도적 위기의 근본적인 해결에 기여하고자 인도적 지원-개발협력-평화간 연계를 강화시키는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해 나갈 예정입니다.붙임 : 상기 회의 사진. 끝.[자료제공 :(www.korea.kr)]
- 손원규 기자 2021-03-02 17:09:04
- 3개 ILO 핵심협약 비준동의안 국회 본회의 통과
- □ 오늘(2.26.(금)) 국회 본회의에서 3개 ILO(국제노동기구) 핵심협약* 비준동의안이 의결되었다. * 「제29호 강제 또는 의무노동에 관한 협약」, 「제87호 결사의 자유 및 단결권 보호에 관한 협약」, 「제98호 단결권 및 단체교섭권 원칙의 적용에 관한 협약」 ㅇ 핵심협약(Fundamental Conventions)은 ILO가 지금까지 채택한 190개 협약 중 가장 기본적인 노동권과 관련된 8개 협약*을 칭한다. * ▴결사의 자유 관련 협약(87호, 98호) ▴강제노동 관련 협약(29호, 105호)▴아동노동 관련 협약(138호, 182호) ▴균등대우 관련 협약(100호, 111호) ㅇ 향후 정부는 ILO에 3개 협약 비준서를 기탁할 예정이며, 기탁한 날로부터 1년 후 협약의 효력이 발효될 예정이다.□ 1919년 설립된 ILO(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)는 국제노동 기준 수립 및 이행 감독 등을 수행하는 UN 산하의 노동분야 전문 국제기구로서, ㅇ 우리나라는 1991년 ILO 회원국으로 가입 후 25년 연속(‘96년~) 이사국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.□ 이번에 비준한 「제29호 강제 또는 의무노동에 관한 협약」은 비자발적으로 제공한 모든 형태의 강제노동을 금지하는 내용의 협약이며 ㅇ「제87호 결사의 자유 및 단결권 보호에 관한 협약」은 노사의 자발적인 단체 설립 및 가입, 자유로운 대표자 선출 등 ‘결사의 자유’에 관한 기본 원칙을 규정하고 있다. ㅇ「제98호 단결권 및 단체교섭권 원칙의 적용에 관한 협약」은 노동자의 단결권 행사에 대한 보호와 자율적 단체 교섭 장려를 위한 조치 등을 보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.□ 금번 ILO 핵심협약 비준으로, 대외적 측면에서는 국제사회와의 약속* 이행을 통해 국격 및 국가 신인도 제고에 기여하게 되었다는 데 큰 의미가 있으며 * ▴’96년 OECD 가입 시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노동법 개정 약속, ▴’19년 UN 인권이사회 이사국 선거 시 자발적 공약으로 핵심협약 비준 검토 약속 등 ㅇ 나아가 한-EU FTA* 등 노동 조항이 담긴 FTA 관련 분쟁 소지를 줄여 통상 리스크 해소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. * 최근 우리나라의 ILO 핵심협약 미비준 등을 이유로 한-EU FTA 전문가패널 절차 진행(’18.12월~’21.1월). 끝.[자료제공 :(www.korea.kr)]
- 손원규 기자 2021-02-26 18:10:07